728x90
반응형
목차
로그인 시 토큰 저장 간편화하기
기존 로그인을 하기 위해서는 Base64에서 인코딩을 해준뒤
authorization에 Basic 토큰을 넣어야 했다.
포스트맨 자체에서 제공해 주는 기능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간편하게 Base64 인코딩을 하여
발급받은 토큰을 바로 사용할 수 있다.
post시 토큰 자동으로 넣기
또한 post할때 baerer토큰을 자동으로 넣어주고 싶으면 Bearer Token에 accessToken을 넣어주면 된다.
강의출처
[코드팩토리] [초급]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- NestJS Core 강의 | 코드팩토리 -
코드팩토리 | 자바스크립트, 타입스크립트 다음은 백엔드 개발! NestJS를 이용한 REST API 백엔드 개발, Socket IO 개발 및 배포를 할 수 있게 됩니다., 백엔드가 처음이어도 누구나 OK! 트렌디한 NestJS로
www.inflearn.com
반응형
'코딩 정보 > Nest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estJs] Class Transformer를 사용해 보자 (0) | 2025.01.28 |
---|---|
[NestJs] DTO란 무엇이고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(0) | 2025.01.27 |
[NestJs] 토큰 가드를 구현해보자 (0) | 2025.01.24 |
[NestJs] 파이프에 대해 알아보자 (0) | 2025.01.21 |
[NestJs] 로그인 기능을 구현해 보자 (0) | 2025.01.21 |